출처 : http://kahng.tistory.com/2
참고로 http://b.mytears.org/2010/11/2311 <nameTableEntry nameTypeID="1" nameTypeName="Family"> <localizedName platformID="1" platformName="Macintosh" scriptID="0"scriptName="Roman" languageID="0" languageName="English" isRawHex="NO">Malgun Gothic</localizedName> <localizedName platformID="3" platformName="Microsoft" scriptID="1"scriptName="Unicode" languageID="1033" isRawHex="NO">Malgun Gothic</localizedName> <localizedName platformID="3" platformName="Microsoft" scriptID="1"scriptName="Unicode" languageID="1042" isRawHex="NO">맑은 고딕</localizedName> </nameTableEntry> 이부분을 아래처럼 한줄을 추가합니다 <nameTableEntry nameTypeID="1" nameTypeName="Family"> <localizedName platformID="1" platformName="Macintosh" scriptID="0" scriptName="Roman" languageID="0" languageName="English" isRawHex="NO">Malgun Gothic</localizedName> <localizedName platformID="1" platformName="Macintosh" scriptID="3" scriptName="Korean" languageID="23" languageName="Korean" isRawHex="NO">맑은 고딕</localizedName> <localizedName platformID="3" platformName="Microsoft" scriptID="1" scriptName="Unicode" languageID="1033" isRawHex="NO">Malgun Gothic</localizedName> <localizedName platformID="3" platformName="Microsoft" scriptID="1" scriptName="Unicode" languageID="1042" isRawHex="NO">맑은 고딕</localizedName> </nameTableEntry> (밑줄은 알아보시라구 그냥 친 겁니다. 밑줄 지우세요) (그래서.. 그밑에 style 등 많이 써있지만 다 필요없고 저 위처럼 family 만 고치면 되더라구요.) 8. 6번에서 생성된 xml 화일을 엽니다. 이제 아시겠죠? 똑같은 위치에 같은 내용으로 한줄만 추가합니다. <localizedName platformID="1" platformName="Macintosh" scriptID="3"scriptName="Korean" languageID="23" languageName="Korean" isRawHex="NO">맑은 고딕</localizedName> 이렇게 치시면 됩니다. 따옴표 저렇게 넣어야 합니다. 빈칸이 있어서.. 10. 이제 다 되었습니다. 폰트 설치합시다. 파인더에서 해당 malgun.ttf 랑 malgunbd.ttf 를 각각 더블클릭하면 서체관리자가 뜹니다. 서체 설치를 각각 눌러줍니다. 11. 워드 2011 을 열어봅니다. 중요: 신기하게도 doc 문서는 서체간 간격이 좁게 나오지만 docx 문서로 저장하는 순간, 이쁘게 잘 보입니다. 이탤릭체도 잘 작동합니다. ^^
WRITTEN BY
- RootFriend
개인적으로... 나쁜 기억력에 도움되라고 만들게되었습니다.